운현궁(雲峴宮)
-사적 제257호-
조선 26대 임금인 고종이 등극하기 전에 살았던 잠저로서, 생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집이다.
흥선대원군은 이곳을 무대로 10여년간 집정하면서 어린 아들을 대신해서 정치를 했다.
수직사 뜰
수직사(守直舍)는 운현궁의 경비와 관리를 당당했던 사람들이 거처하던 곳이다.
노안당 솟을대문과 서행각 외부모습
대문 왼쪽아래 사각형 돌은 하마석
노안당(老安堂)은 흥선대원군이 거처한 곳으로
고종 즉위 후 주요 개혁정책이 논의 되었던 역사적 장소이다.
노안당 현판은 대원군이 아들이 왕이 되어 자신의 노년을 편안하게 살게 되어
흡족하다는 뜻과 노인들을 편하게 모셔야 된다는 치국의 이념을 갖고 있다.
노안당 앞뜰
-재현-
가운데방은 대원군이 난을 치는 모습
오른쪽방은 고종의 봉사식
난을 그리고 있는 흥선대원군
노안당의 서행각(사랑채)
노안당 뒷뜰
노락당과 이로당으로 들어가는 대문채:중문
노락당으로 들어가는 문
노락당(老樂堂)은 명성활후가 왕비 수업을 받던 곳이자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가 행해진 곳. 초익공 양식의 사대부가 건축미를 느낄 수 있으며, 아름다운
창살문양(불발기창호)이 그대로 남아 있다.
지붕의 용마루를 받치고 있는 중도리에는 용문양이 그려져 있어 건물의 권위와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노락당의 남행각
-재현-- 명성황후의 부대부인 생신축하 방문
-재현- 노락당 부억
노락당의 뒷뜰
이로당으로 가는 정원길
이로당(二老堂)은 안채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여자들만
살 수 있게 별도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철저한 금남지역
이로당의 동행각(이로당과 노락당은 복도로 이어져 있음)
이로당의 뒷뜰에서 바라본 노락당과 멀리 보이는 노안당의 처마모습
수직사 뜰에서 바라본 운현궁
한복을 입은 일본관광객
유물전시관은 운현궁과 흥선대원군 관련 유물전시관
흥선대원군
-재현-
명성황후의 홍색노의와 상궁의 청녹색 당의
척화비(斥和碑) -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홍이포와 화승총
역사적 사건들
정이품 대부송이 서있던 자리에 세워진 경송비 비석(이로당 뒷뜰에 있음)
지정번호 : 사적 제257호
시 대 : 1864년(고종1), 1996년 증수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
지하철 3호선 안국역 4번출구
운현궁 홈페이지 www.unhyeongun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