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만해 기념관
만해 한용운 선생(1879-1944)은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27세에 설악산 백담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불교계의 개혁과 대중화를 위해 "조선불교유신론"과 "불교대전"을 저술하였으며, 불교월간잡지 "유심"을 창간하여 언론활동을 통한 불교 대중화에 앞장섰다.
또한 민족대표 33인으로 3.1운동을 주도하였다.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의 개요", "님의 침묵" 등 많은 책을 저술하여 민족적 지도자로 평가 받는다.
남한산성 만해기념관은 다양한 만해선생 관련 자료와 연구서들이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연구되는 명실상부한 만해연구의 도량이요 만해 정신을 선양하고 있는 대표적 산실이다. (글 : 만해기념관 Leaflet 참조함)
남한산성 만해기념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로 792번길 24-7
☏ 031-744-3100
만해기념관 전경
전시장 입구
중앙진열장
만해의생애별로 분류한 화보
|
|
도서자료들
월간지 유심(唯心)
유심(唯心)
1918년 10월 20일에 서울 계동 43번지에서 만해 선생은 유심사 편집 겸 발행인으로 월간지 유심(唯心)을 창간 한다. 종합 교양 잡지로서 만해 선생을 포함한 당대 명사들이 참여하여 불교 관련 글 이외에도 민중교육과 수양에 관련된 글들이 실렸다.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민족독립정신이 담긴 내용이 중심이 되어 3.1운동의 전위지 역할을 하였으며 한국독립운동사의한 모체가 되었다. |
|
님의 침묵 초판본
님의 침묵 초간본 1926년 3월 20일 서울 회동서관에서 발행된 만해 한용운선사의 최초 시집이다. 사랑의 증도가, 20세기 석굴암의 대불과 견줄 수 있는 우리의 영원한 고전으로 "님의침묵", "알수없어요" 등 한용운의 시 88편이 수록되어 있다. 한글 맞춤법 시행전의 판본으로 님의 침묵 시어 원형 연구의 귀중한 지침서로 국내 희귀본이다.
|
|
만해기념주화(한국은행)
특별기획전 작품들
심우장과 남한산성 만해기념관을 돌아보고나서 만해 한용운선생의 새로운 면면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귀한 자료들이 만해선생을 찾는 모든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다.
2014. 6. 21.
'사진으로 보는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관 (0) | 2014.08.15 |
---|---|
도산안창호 기념관 (0) | 2014.06.28 |
심우장 (0) | 2014.06.23 |
사직단 (0) | 2013.04.01 |
종묘 (0) | 2013.03.27 |